바쁘게 살아가느라 ‘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’을 놓치고 계신가요?
2025년 4월, 정부는 청년들을 위해 자산 형성, 구직, 저축과 관련된 다양한 지원 제도를 운영 중입니다.
오늘은 그중에서도 실제로 신청 가능한 핵심 3가지 지원금을 정리해봤습니다.
해당되는 항목이 있다면 이번 달 안에 꼭 챙겨보세요.
1. 청년도약계좌
💡 5년 저축으로 최대 5,000만 원의 목돈 만들기
- 대상: 만 19~34세 청년 / 연소득 5천만 원 이하
- 방식: 매월 40만 원 저축 시 정부가 추가 보조금 지급
- 신청 기간: 2025년 4월 1일 ~ 4월 30일
- 신청처: 시중은행(앱 또는 지점)
📌 장점: 복리 효과, 정부 보조금 포함
📌 주의사항: 중도 해지 시 손해 발생 가능
✔ 안정적인 소득이 있는 청년에게 추천합니다.
2. 청년내일저축계좌
💡 월 10만 원 저축 → 정부가 최대 1,440만 원 매칭
- 대상: 만 19~34세 청년 / 기준중위소득 100% 이하
- 지원기간: 3년
- 신청처: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또는 주민센터
- 신청 상태: 상시 접수 (예산 소진 시 종료)
📌 장점: 무직자, 아르바이트생도 신청 가능
📌 팁: 근로 의지와 저축 의지가 확인돼야 승인 확률 ↑
✔ 현재 수입이 적은 분들에게 꼭 필요한 제도입니다
3. 청년 구직활동 지원금 (지자체별)
💡 월 최대 50~60만 원 지원, 구직활동 청년 대상
- 대상: 고용보험 미가입 상태의 취업준비생
- 지역별 운영 (서울, 경기, 부산 등)
- 주요 조건: 활동계획서 + 활동 결과보고
- 신청처: 지역 청년포털 또는 워크넷 연계 페이지
📌 변동사항이 많으니 각 지자체 공고를 확인하세요.
📌 예) 서울청년포털 / 경기도일자리재단 등
✔ 실질적인 생활비 지원을 원하는 구직 청년에게 추천합니다.
마무리하며
이 세 가지 제도는 소득 수준과 상황에 따라 충분히 중복 혜택 없이 선택 가능합니다.
청년이라면 누구나 해당될 수 있는 제도들이니,
이번 4월 안에 꼭 확인하고, 필요한 건 신청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.
📝 오늘도 나를 위한 기회를 스스로 만드는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.
관련 링크 모음
'청년지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4월, 청년 창업 지원사업 총정리 (이건 꼭 확인하세요) (0) | 2025.04.03 |
---|---|
5년짜리 vs 3년짜리, 청년 자산 만들기 계좌 비교해드립니다 (0) | 2025.04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