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청년지원

5년짜리 vs 3년짜리, 청년 자산 만들기 계좌 비교해드립니다

by 마스터 제이 2025. 4. 2.

 

청년 시기에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 자산 형성입니다.
정부는 청년들이 스스로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
‘청년도약계좌’와 ‘청년내일저축계좌’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

 

두 제도 모두 저축 + 정부 지원을 결합한 강력한 프로그램이지만,
지원 조건과 금액, 대상이 완전히 다릅니다.

 

오늘은 이 두 계좌를 청년의 상황별로 어떻게 선택하면 좋을지
쉽게 정리해드릴게요.


청년도약계좌 한눈에 보기

💡 일정 소득이 있는 청년이 5년간 저축하면
정부가 보조금을 더해 목돈을 만들어주는 계좌

  • 대상: 만 19~34세 청년 / 연소득 5천만 원 이하
  • 저축기간: 5년
  • 저축방식: 월 40만 원 저축 + 정부 보조금
  • 수령 예상액: 최대 약 5,000만 원
  • 신청처: 정부24, 시중은행 앱 또는 창구

📌 직장인 청년,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할 수 있는 분께 적합합니다.


청년내일저축계좌 한눈에 보기

💡 무직자, 저소득 청년도 신청 가능!
3년간 저축하면 정부가 최대 1,440만 원까지 더해주는 계좌

  • 대상: 만 19~34세 청년 / 기준중위소득 100% 이하
  • 저축기간: 3년
  • 저축방식: 월 10만 원 저축 + 정부 지원금 매칭
  • 수령 예상액: 최대 약 1,440만 원
  • 신청처: 복지로, 주민센터 방문

📌 알바 중이거나 수입이 불안정한 청년, 저소득층 청년에게 적합합니다.


한 눈에 비교표로 정리!

항목 청년도약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
저축기간 5년 3년
월 저축금 40만원 10만 원
지원방식 정부 보조금 + 이자 정부 매칭 적립
총 수령 예상액 최대 약 5,000만 원 최대 약 1,440만 원
신청 조건 연소득 5천만원 이하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
소득 유무 일정 소득 필요 무직자도 가능

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요?

 수입이 일정하고 장기 저축이 가능한 직장인 → 청년도약계좌
 무직자이거나 저소득 청년 → 청년내일저축계좌

 

둘 다 매력적인 제도지만,
본인의 경제 상황과 향후 계획에 따라 잘 선택하셔야 합니다.


신청 전 꼭 체크할 점

  • 두 제도는 중복 신청이 불가능합니다. 하나만 선택해야 해요.
  • 중도 해지 시 불이익이 있으니 신중히 결정하세요.
  • 신청 일정과 예산 상황에 따라 접수가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
    정부24 또는 복지로 공고를 수시로 확인해 주세요.

참고 링크


마무리하며

청년의 자산 형성은 빠를수록 좋습니다.
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시작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겠죠.
이번 달 안에 자신의 상황을 점검해보고,
나에게 맞는 계좌로 첫 저축을 시작해보시길 바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