창업을 결심한 청년들에게 정부는 생각보다 많은 도움을 제공합니다.
사업자금, 공간, 교육, 인건비, 마케팅까지
초기 창업자가 부담스러워하는 대부분을 지원금이나 프로그램 형태로 지원하고 있죠.
2025년 4월 현재, 청년 창업자가 꼭 확인해야 할 핵심 지원사업 3가지를
정리해서 알려드립니다.
1. 청년창업사관학교 (중소벤처기업부)
💡 전국 단위 창업 엘리트 양성기관, 사업비 최대 1억 원 지원
- 대상: 만 39세 이하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 3년 이하 초기 기업
- 지원내용:
· 사업화 자금 최대 1억 원 (정부 70%, 자부담 30%)
· 창업 공간 및 시설
· 창업 교육 및 전담 멘토 배정 - 접수: K-Startup 홈페이지
- 2025년 4월 모집 중 (지역별 상이)
✔ 기술 기반 창업자나 제품 개발형 스타트업에 특히 적합한 프로그램입니다.
2.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(고용노동부)
💡 창업기업이 청년을 고용하면 인건비 일부를 지원
- 대상: 만 15~34세 청년을 신규 고용한 창업기업
- 지원금: 청년 1인당 연 최대 960만 원
- 조건: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+ 4대보험 가입
- 신청처: 고용노동부 워크넷, 기업 지원 앱
✔ 청년을 채용하고 싶은 창업 초기 기업이라면
인건비 부담을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는 제도입니다.
3. 지자체별 청년 창업 지원금
💡 각 시·도에서 개별적으로 운영하는 창업자금 및 컨설팅 지원
- 운영지역 예시:
· 서울시 – 청년창업지원센터 입주 + 사업화자금
· 경기도 – 청년 CEO 육성 지원금
· 부산 – 청년 스타트업 지원바우처 - 지원규모: 지역별 500만 원 ~ 3,000만 원까지 다양
- 신청: 해당 지자체 청년포털 or 일자리재단
📌 지역마다 지원대상, 업종 제한, 공고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
정기적으로 확인하거나 알림 신청을 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.
창업지원금 신청 전 체크리스트
✅ 아이템 또는 사업 모델이 있는가?
✅ 사업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는가?
✅ 자부담 조건을 감당할 수 있는가?
✅ 기업 설립 여부 (예비 vs 기창업자)
신청 사이트 모음
마무리 조언
지금이 창업 초기라면,
정부의 도움을 받는 것 자체가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.
지원금을 받는다고 해서 경쟁력이 떨어지는 게 아닙니다.
지원금을 통해 자본과 리스크를 줄이고, 더 나은 방향으로 실행력을 높일 수 있다면 그것이 가장 현명한 시작입니다.
2025년 4월, 내가 도전할 수 있는 제도가 무엇인지 꼭 살펴보고
놓치지 마세요!
'청년지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년짜리 vs 3년짜리, 청년 자산 만들기 계좌 비교해드립니다 (0) | 2025.04.02 |
---|---|
청년이라면 꼭 확인해야 할 4월 정부지원금 BEST 3 (2025년) (4) | 2025.04.01 |